티스토리 뷰
오늘은
대격을 잠시 복습한 후
조격용법과 변화규칙을
공부합니다.
***
***
1. 대격 복습
○ 나는 러시아에서 친구들 사진을 많이 찍었다.
- Я многа фотографировал друзе́й в России.
※ фотографировать는 "사진을 찍다"
※ друзей는 друг의 복수형 друзья의 대격형.
※ в России에서 России는 Россия의 전치격.
○ 너는 학교에서 러시아어를 배우니?
- Ты учишь руский язык в школе?
※ учить는 "배우다, 외우다, 가르치다"
※ школе는 школа의 전치격
○ 그는 그녀에게 사진을 보여 주었다.
- Он показал ему фотографию.
※ показать는 "보여주다"
※ ему 는 она의 여격, фотографию는 фотография의 대격.
○ 엄마가 꽃병을 책상 위에 놓으셨다.
- Мама поставил вазу на стол.
※ поставить는 "놓다, 설치하다" - 방향성을 가진 동사(소위 куда 동사)로 в 또는 на + 대격이 온다.
※ вазу는 ваза의 대격, на стол에서 стол은 대격형. 보통 "책상 위에 놓다"는 전치사 на 가 쓰이고 "책상서랍 속에 놓다"는 전치사 в가 온다.
2. 조격의 변화규칙과 용법
(1) 인칭대명사의 조격 변화
(인친대명사의 조격변화)
я | мной |
ты | тобой |
он | (н)им |
она | (н)ей |
мы | нами |
вы | вами |
они | (н)ими |
※ 3인칭 단,복수(он, она, они)의 조격은
보통 им, ей, ими가 쓰이나
с 등 조격지배 전치사와 함께 쓰일 경우에
н가 붙어서 ним, ней, ними가 된다.
(2) 보통명사의 조격변화 규칙
(남성명사)
● 기본적으로 자음 끝에 'ом'을 붙여 준다. (брат → братом, карандаш → карандашом)
- 단, ж, ц, ч, ш, щ 등이 강세없이 끝나는 경우에는 ем을 붙여 준다.(муж 남편 - мужем)
● й나 ь로 끝나는 경우는 ем으로 바꿔 준다. 강세가 있으면 ём으로.(чай → чаем)
(여성명사)
● 기본적으로 а를 ой로 바꿔 준다.(вода → водой)
- 단, ж, ц, ч, ш, щ 등으로 끝나는 단어에는 ей를 붙여 준다.
● я로 끝나는 경우는 ей로 바꿔 준다. 강세가 있으면 ёй로.(фотография → фотографией)
● ь로 끝나는 경우는 ью로 바꿔 준다.(ночь → ночью)
(중성명사)
● 기본적으로 끝에 м을 붙여 준다.(окно → окном, море → морем)
(복수명사)
● 단수 주격 원형의 끝 글자가
- 자음이면 ами를 붙여 준다.(мост 다리, 교량 → мостами)
- а나 о면 ами로 바꿔 준다.(окно → окнами)
- 기타의 경우는 ями로 바꿔 준다. (край 모서리,가장자리 → краями)
● 예외 : дочь - дочерьми (daughters),
ребёнок - детьми (children),
человек - людьми (people)
(3) 조격의 용법
★ 자격/신분의 의미
- стать, быть, работать 등 조격지배 동사와 함께 직업, 신분의 명사가 조격으로 쓰인다.
○ 나의 딸은 대학 졸업 후 의사가 되기를 원한다.
- Мой дочь хочет стать врачом после оканчания университета.
※ стать는 "~이 되다", 뒤에 직업이나 신분을 뜻하는 명사가 오면 조격이 된다, врачом은 врач의 조격.
※ 전치사 после는 "~이후, after"로 뒤에 생격이 온다. оканчания는 оканчание(졸업)의 생격. университета도 оканчание를 꾸며주는 생격.
○ 내가 대학생이었을 때 나의 오빠는 기술자였다.
- Кагда я был студентом мой брат был инженером.
※ студент와 инженер가 모두 직업이나 신분 명사이므로 быть 동사와 함께 쓰일 때 조격이 된다.
○ 그녀의 할아버지는 대학교수로 일하고 계신다.
- Его дедушка работает профессором.
※ работать 동사 뒤에 профессор의 조격이 쓰여 "교수로 일하다, 교수직에 종사하다"는 뜻.
★ 도구/수단의 의미
○ 아버지는 펜으로 편지를 쓰고 계신다.
- Отец пишет письмо ручкой.
※ ручкой는 ручка(펜)의 조격으로 "펜으로"
○ 나는 연필로 러시아어를 쓰고 있다.
- Я пишу по-русски карандашом.
○ 나는 우유가 들어 간 탄 커피를 마시고 싶다.
- Я хочу пить кофе с молоком.
※ 전치사 с는 영어의 with 또는 from의 뜻이 있는데 with의 뜻일 경우는 "+ 조격", from일 경우는 "+ 생격"으로 쓰인다.
***

ложка는 스푼,
к обеду는 전편에서 배운 к + 대격,
식사가 가까와질수록 스푼이 비싸진다는 의미로
"모든 일에는 때가 중요하다"는
러시아 속담.
'러시아어 기초공부 노트 > 고급과정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고급] 8강. ЧТО의 격변화와 용법 (0) | 2020.07.22 |
---|---|
[러시아어 고급] 7강. 조격 용법(2) + KTO의 격변화 (0) | 2020.07.22 |
[러시아어 고급] 5강. 대격 용법과 변화규칙 연습 (0) | 2020.07.21 |
[러시아어 고급] 4강. 여격 용법(3) - 여격지배 동사 + 여격지배 전치사 보충학습 (0) | 2020.07.20 |
[러시아어 고급] 3강. 여격 용법(2) - 여격지배 동사, 술어부사 구문의 주어, 여격지배 조동사 + 완료동사와 미완료동사 (0) | 2020.07.2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성경러시아어
- 러시아어단어
- 시사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만화
- 소유형용사
- 박소윤러시아어중급
- 만화러시아어
- 러시아어문제
- 러시아어속담
- 박소윤러시아어고급
- 러시아어독해
- 박소윤러시아어
- 러시아어독학
- 라트비아
- 러시아어문제풀이
- 러시아어리스닝
- 박소윤러시아어초급
- 러시아역사
- 아기돼지추냐
- 운동동사
- 생활러시아어
- 상트페테르부르크
- 리트아니아
- 러시아어회화
- 러시아어기초
- 러시아어기초단어
- 에스토니아
- 러시아어기초표현
- 러시아어기초회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