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러시아어 중급] 8강. 제2형식 동사변화 복습(2), '보다', '가르치다' + 계절이름 + 거절의 표현
혼공러시아어 2020. 7. 14. 10:20오늘은
제2형식 '보다', '가르치다'를 통해
동사변화를 좀더 복습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이름을 공부합니다.
***
***
1. 기초 단어
연(年) | год | 고뜨 | - время года는 time 과 year가 합쳐진 복합명사로 성은 время의 성에 따라 중성명사가 된다. - осень은 b로 끝나는 여성명사이다. |
시간 | время | 브례먀 | |
계절 | время года | 브례먀 고다 | |
봄 | весна | 비쓰나 | |
여름 | лето | 례따 | |
가을 | осень | 오씬 | |
겨울 | зима |
지마 |
(예문)
(1) Саша любит лето. (싸샤 류비뜨 례따)
- 싸샤는 여름을 좋아합니다.
(참고) 춥고 겨을이 긴 러시아에 사는 사람들은 짧은 여름동안 따뜻한 기후와 백야를 즐기기 위해 거의 집에 있지 않고 하루종일 야외에서 살다시피 한다고 한다.
(2) Какое время года вы любите? (까꼬예 브례먀 고다 븨 류비쪠)
- 당신은 어떤 계절을 좋아 하십니까?
(참고) 이미 какой, какая 를 배운 바 있는데 모두 "어떤"을 뜻하면 의문사이다. 명사의 성에 따라 남성에서 какой를, 여성에서 какая 를, 중성에서 какoe로 변화한다.
(3) Я не люблю зиму. (야 니 류블류 지무)
- 나는 겨울을 좋아하지 않는다.
(참고) a나 я로 끝나는 명사가 목적어가 되면 끝글자가 a인 경우 y로, я인 경우는 ю로 바뀐다. 그래서 "겨울" зима가 зиму로 바뀐 것이다.
(작문)
(1) 지금은 가을이다.
- Сейчас осень. (씨차스 오씬)
(2) 내가 좋아하는 계절은 봄이다.
- Моё любимое время года весна. (마요 류비마예 브례먀 고다 비쓰나)
(참고) любимое는 영어의 favorite 에 해당하는 형용사 즉, "좋아하는"의 뜻을 가진 단어 любимый(류비믜이)의 변화형이다.
(3) 겨울에 모스크바에 눈이 온다.
- Зимой в Москве идёт снег. (지모이 브 마스끄볘 스녴)
(참고) Зимой는 "겨울에", Москве는 Москвa의 전치격. снег는 snow이다. 여기서 идёт 는 전시간에 영화, 공연, 프로젝트 등이 주어가 되면 "진행중, 공연중, 상영중"의 뜻이 된다고 배웠는데 날씨나 계절에 관련되는 경우는 봄이 온다 간다 눈, 비가 온다 내린다 등의 뜻이 사용된다고...
2. 제2형식 동사 변화규칙 더 익히기 - "보다", "가르치다"
◇ "보다" : видеть(비졔찌)
- 지난 시간에 배운 смотреть 도 "보다"인데, 영어로 말하면 Look 또는 Watch에 해당하는 동사로 뭔가 집중해서 바라보는 것을 말하며, 오늘 배울 видеть는 영어의 see 즉, 그냥 눈에 들어오는 것,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 видеть 동사의 어간은 вид인데 변화의 특징은 1인칭에서 д가 ж로 바뀐다는 것이다. ж 다음에 ю 모음이 올 수 없으므로 어미는ю 가 아닌 у로 바뀌는 예외가 있으며 나머지는 일반 2형식 동사의 변화규칙에 따른다.
인칭 | 어근+어미변화 | 발음 | 인칭 | 어근+어미변화 | 발음 | ||
Я (나) | виж | у | 비주 | Мы (우리) | вид | им | 비짐 |
Ты (너) | вид | ишь | 비지슈 | Вы (너희들,당신) | ите | 비지쪠 | |
Он/Она (그/그녀) | ит | 비지뜨 | Они (그들) | ят | 비쟈뜨 |
(작문)
(1) "그는 잘 보지 못해요(시력이 나빠요)"
- Он плохо видит. (온 쁠로하 비지뜨)
◇ "가르치다" : учить(우치찌)
- 이 동사는 동영상에서 "배우다"로 나오는데, 찾아보니 배우다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주로 쓰이는 뜻은 "가르치다"가 맞는 것 같다. "외우다"는 뜻도 함께 갖고 있다.
- 이 동사의 변화특징은 어간이 уч이다 보니 ч 뒤에 놀 수 없는 모음 ю와 я 때문에 1인칭에서 ю가 y로, 복수 3인칭에서 ят. ат로 바뀐다는 것이다.
인칭 | 어근+어미변화 | 발음 | 인칭 | 어근+어미변화 | 발음 | ||
Я (나) | уч | у | 우추 | Мы (우리) | уч | им | 우침 |
Ты (너) | ишь | 우치슈 | Вы (너희들,당신) | ите | 우치쪠 | ||
Он/Она (그/그녀) | ит | 우치뜨 | Они (그들) | ат | 우차뜨 |
(작문)
(1) "그녀는 러시아어를 가르친다"
- Она учит русский язык. (아나 우치뜨 루스끼 이즥)
3. 정중한 거절의 표현
◇ "유감스럽지만 난 할 수 없어."
- 영어로 I cannot. 즉, "난 할 수 없다"는 말은 can에 해당하는 동사 мочь 의 1인칭 변화형 могу(모구)를 써서 Я не могу.(야 니 모구) 하면 되는데, 문장 앞에 관용표현으로 "유감스럽지만"이란 к сожалению (끄 싸좔례뉴) 표현을 넣으면 좀더 정중한 표현이 된다.
- К сожалению, Я не могу.(끄 싸좔례뉴 야 니 모구)
◇ "미안하지만, 시간이 없습니다"
- Извините, у меня нет времени.(이즈비니쪠 우 미냐 녣 브례미니)
'러시아어 기초공부 노트 > 중급과정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중급] 10강. 불규칙 동사 '먹다', '마시다' + 맛있게 드세요. (0) | 2020.07.14 |
---|---|
[러시아어 중급] 9강. 양방향 운동동사 ходить, 대격 변화규칙 (0) | 2020.07.14 |
[러시아어 중급] 7강. 제2형식 동사 변화복습, '보다', '사랑하다' + 초대와 약속의 표현 (0) | 2020.07.13 |
[러시아어 중급] 6강. 제2형식 동사의 기본변화, "생일 축하" (0) | 2020.07.13 |
[러시아어 중급] 5강. 1형식 동사 불규칙 변화, '타고 가다', '그리다' (0) | 2020.07.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박소윤러시아어고급
- 러시아어만화
-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어기초표현
- 박소윤러시아어
- 박소윤러시아어중급
- 소유형용사
- 러시아어속담
- 러시아어기초회화
- 박소윤러시아어초급
- 러시아어독해
- 시사러시아어
- 성경러시아어
- 리트아니아
- 러시아어회화
- 운동동사
- 생활러시아어
- 러시아어기초
- 라트비아
- 러시아어기초단어
- 러시아어독학
- 러시아어리스닝
- 만화러시아어
- 아기돼지추냐
- 러시아역사
- 러시아어문제풀이
- 러시아어문제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단어
- 에스토니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