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불규칙 동사인
'원하다', '잡다' 등의
변화규칙을 공부하고
처음으로
과거시제의 변화를
배웁니다.
***
***
1. 기초 단어
넓은 | широкий |
쉬로끼 |
- 머리카락은 한올이 아닌 경우 항상 복수형인 волосы를 사용한다. - номер는 기본적으로 영어의 number이지만 "호텔방"이란 의미도 가진다. - 빨간색 красный는 "아름답다", "공산주의의"란 의미도 가진다. |
좁은 | узкий |
우즈끼 |
|
어두운 | тёмный |
쬼늬 |
|
밝은 |
светлый |
쓰볘뜰릐 |
|
반가운 |
приятный |
쁘리야뜨늬 |
|
거리 |
улица |
울리짜 |
|
머리카락 |
волос, волосы | 볼라스, 볼라씌 |
|
소설 |
ромаи |
라만 | |
번호, 호텔방 |
номер |
노몌르 |
|
파란색의 |
синий |
씨니 |
|
빨간색의 |
красный |
끄라스늬 |
|
노란색의 |
Жёлтый |
죨띄 |
(예문)
(1) Здесь широкая улица. (즈졔씨 쉬로까야 울리짜)
- 여기에 넓은 거리가 있습니다.
(2) Очень приятно. (오친 쁘리야뜨나)
- 만나서 반갑습니다.
(참고) 영어의 Nice to meet you.에 해당하는 인사말. приятно는 형용사 приятный의 부사형으로 술어부사이다.
(3) У неё светлые волосы. (우 니요 스볘뜰릐예 볼라씌)
- 그녀의 머리카락은 밝은 색이다.
(참고) 신체부분의 특징을 묘사하는 경우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다. 직역하면 "그녀에게는 밝은 머리카락이 있다"가 된다.
(4) У него тёмное лицо. (우 니보 쬼나예 리쪼)
- 그의 얼굴색은 어둡다.
(5) Прямо, узкая улица. (쁘랴마 우즈까야 울리짜)
- 똑바로 가면 좁은 길이 있다.
2. 불규칙동사 계속
◇ "원하다", "~하고 싶다" : хотеть(하쪠찌)
- хотеть 동사는 1형식동사 변화와 2형식 동사 변화가 짬뽕된 혼합변화 동사이다. 단수인칭에선 어간이 хоч가 복수인칭에선 хот가 되며 어미도 어래와 같이 불규칙하게 변한다.
인칭 | 어간+어미 | 발음 | 인칭 | 어간+어미 | 발음 | ||
Я | хоч | у | 하추 | Мы | хот |
им | 하찜 |
Ты | хоч |
ешь | 호치쉬 | Вы | хот | ите | 하찌꼐 |
Он/Она | хоч | ет | 호치뜨 | Они | хот | ят | 하쨔뜨 |
(강세는 1인칭에서 y에 오고 단수 2,3인칭에선 o에 오며 나머지는 и와 я에 온다.)
◇ "?" : взять(브쟈찌)
- взять 동사는 뜻이 다양해서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다. 영어의 take에 해당한다. "잡다, 쥐다, 가지고 가다, 가지고 오다, 데리고 가다, 데려오다, 고르다, 빌리다" 등 다양한 뜻을 가진다.
- 동사변화는 어간이 동사원형보다 더 길어지는 특징이 있다. 어간의 возьм로 바뀌고 어미는 2형식 규칙변화에 따른다.
인칭 | 어간+어미 | 발음 | 인칭 | 어간+어미 | 발음 | ||||
Я | возьм | у | 바지무 | Мы | возьм | ём |
바지묨 | ||
Ты | ёшь |
바지묘쉬 | Вы | ёте | 바지묘쪠 | ||||
Он/Она | ёт | 바지묘뜨 | Они | ут | 바지무뜨 |
(작문)
(1) "나는 러시아어 소설을 읽고 싶어요"
- Я хочу читать русский роман. (야 하추 치따찌 루스끼 라만)
(2) "우리는 방을 예약하고 싶어요."
- Мы хотим заказать номер. (믜 하찜 자까자까찌 노몌르)
(3) "사전을 빌릴 수 있나요?"
- Можно взять словарь? (모쥬나 브쟈찌 슬라바리)
(참고) 이미 한번 배운 것인데 Можна + (동사원형)은 "~해도 좋습니까" 또는 "~할 수 있습니까"하고 상대의 허락을 구하는 표현이다.
(4) "나는 파란색 책상을 선택합니다"
- Я возьму синий стол. (야 바지무 씨니 스똘)
3. 과거시제 맛보기 - 오늘 몇시에 일어났니?
- 러시아어의 과거시제는 기본적으로 그다지 복잡하지 않은 것 같다. 현재시제가 주어의 인칭에 따라 6가지 변화를 하는데 비하면 단순하다고 할까. 과거시제는 주어의 성과 수에 따라 4가지 변화밖에 안한다고 한다. 물론 복잡한 불규칙 예외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게 틀림 없겠지만 ㅠㅠ
◇ 과거시제 변화의 기본규칙
주어의 성, 수 | 동사의 어간 + 아래 어미 |
남성명사 | ~ л |
여성명사 | ~ ла |
중성명사 | ~ ло |
복수명사 | ~ ли |
(예문)
(1) "쏘냐, 너 오늘 몇시에 일어났니?"
- Соня! Во сколько ты встала сегодня?(쏘냐, 바 스꼴까 띄 브스딸라 씨보드냐)
(참고) Во сколько 는 이 자체로 "몇시에"란 뜻이 된다. встал은 "일어나다"란 동사 встать(브스따찌)의 어간 вста + 여성 과거형 어미 ла를 붙인 것이다.
(2) "나는 7시에 일어났어."
- Я встала в семь часов.(야 브스딸라 브 솀 치솝)
(참고) 여기서 주어 я는 쏘냐 즉, 여성이므로 역시 과거형도 встала로 대답한다. 시간앞에 오는 "~시에" 즉, 영어의 at에 해당하는 전치사는 в이다. 지난번에 배운 몇시 몇시 할 때의 "시" 즉 час(차스)는 1과 2가 들어가는 시간일때 час(차스)이고 2시부터 4시까지는 часа(치싸), 5시 이후는 часов(치쏩)이 된다는점을 상기하자. 특히 발음이 차싸, 차쏩이 아닌 것에도 주의...
'러시아어 기초공부 노트 > 중급과정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어 중급] 14강. 러시아어의 Be동사 быть 용법 + 운동동사 ездить 현재변화 (0) | 2020.07.16 |
---|---|
[러시아어 중급] 13강. 과거시제 연습, 불규칙 동사의 과거 + 주요 국가명 (0) | 2020.07.16 |
[러시아어 중급] 11강. 불규칙 동사(2) '할 수 있다', '노래하다' + 감사의 표현 (2) | 2020.07.15 |
[러시아어 중급] 10강. 불규칙 동사 '먹다', '마시다' + 맛있게 드세요. (0) | 2020.07.14 |
[러시아어 중급] 9강. 양방향 운동동사 ходить, 대격 변화규칙 (0) | 2020.07.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러시아어문제
- 라트비아
- 러시아어기초단어
- 리트아니아
- 러시아어독해
- 운동동사
- 박소윤러시아어고급
- 러시아어리스닝
- 박소윤러시아어중급
-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만화
- 소유형용사
- 박소윤러시아어초급
- 러시아어기초회화
- 러시아어독학
- 러시아어속담
- 성경러시아어
- 박소윤러시아어
- 러시아어기초
- 러시아역사
- 러시아어회화
- 러시아어단어
- 러시아어문제풀이
- 시사러시아어
- 만화러시아어
- 러시아어기초표현
- 에스토니아
- 아기돼지추냐
- 생활러시아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